본문 바로가기
some coffee

커피의 트렌드는 어떻게 변하고 있을까?

by vlog_paul 2022. 7. 1.
반응형

인류가 가장 즐겨 마시는 음료 중의 하나가 바로 커피입니다. 현재 전 세계인들은 연간 100잔 정도의 커피를 소비하고 있으며 소비량은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고, 생산량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10세기에 에티오피아에서 커피를 처음 발견하고 아랍권 지역에서만 500년, 약 5세기 정도를 약용 음료로 사용하였습니다. 유럽에 전파된 때는 약 17세기 무렵이고 이후로 전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음료가 되었습니다. 국내에는 1895년 러시아 공사관에서 황실에 처음 알려졌습니다.

 

1. 커피에 빠져든 전 세계인, 더 커지는 커피시장

한때 커피는 커피의 가치는 유가시장 다음으로 큰 규모의 시장이었을 정도로 대단했었습니다. 커피나무는 모종을 이식하고 4~5년 이후에 재배합니다. 커피의 품종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는데, 아라비카와, 로부스타가 있습니다. 아라비카는 부드럽고 향미와 산미 풍부하고, 로부스타는 거칠고 쓴맛이 특징이고, 균형 잡힌 바디의 브라질 커피가 있습니다. 커피 생산량은 전 세계적으로 700만 톤이고, 시장의 규모를 돈으로 환산하면 150억 달러가 됩니다. 약 2,000만 명의 일자리를 유지하고 있는 큰 규모의 시장입니다. 커피의 주요 생산지는 가장 큰 규모부터 브라질, 베트남, 콜롬비아, 인도네시아, 인도, 멕시코, 에티오피아, 과테말라가 있습니다. 세계에서 커피를 가장 많이 마시는 나라는 미국이고 약 22% 정도의 커피가 소비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독일과 일본, 이탈리아 순입니다. 하지만 1인당 소비량으로 보면 조금 달라집니다. 핀란드는 세계에서 커피 소비량이 가장 많은 나라로 12kg입니다. 다음은 덴마크와 스웨덴, 벨게에 순이며 대한민국은 1.7kg 정도입니다. 국내 커피 소비량은 세계 11위 정도이며, 1.3% 정도를 소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 커피시장은 앞으로 더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 더 커지는 프리미엄 커피 산업

커피 시장은 날이 갈수록 빠른 속도로 더 커지고 있습니다. 커피의 가격은 매년마다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2003년 100원이었다면 2006년엔 180원으로 거의 80% 이상 상승하였고 앞으로 커피시장이 커질수록 가격은 더 상승할 것입니다. 미국커피협회는 최고급 커피인 스페셜티 커피의 기준을 결점이 없고, 고유의 향미를 가진 원두와 제품으로 하고 있습니다. 8% 정도로 불과한 스페셜티의 생산량은 54만 톤 정도이며, 주로 에티오피아, 과테말라, 콜롬비아, 코스타리카에서 생산하고 있습니다. 매년 10% 이상의 성장률을 보여주는 미국은 시장의 규모가 무려 전체 시장의 50% 이상을 차지합니다. 세계 3위의 커피 소비국인 일본은 연간 40만 톤 이상의 커피를 수입하고 있고, 원두커피 시장은 성장하였고 기존의 인스턴트커피의 소비는 감소하였습니다. 최근엔 편의성을 높여 어디서나 원두커피를 추출하여 마실 수 있는 커피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3. 점점 커지는 국내 커피 시장의 미래

국내 커피 시장에서 가장 많이 소비하는 커피는 아무래도 인스턴트커피입니다. 국내에 들여오는 10만 톤의 커피 중 80% 이상이 인스턴트커피에 사용되고, 약 10% 이하는 원두커피용으로 사용되고, 나머지 10% 는 커피 음료에 들어가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한마디로 커피 소비국 중에 인스턴트커피의 비율이 지나치게 높습니다. 국내에 수입되는 대부분의 원두커피는 저품질로 제대로 된 향미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원두커피의 가치를 느끼기가 어렵습니다. 그 이유는 원두에 적합하지 않은 조건의 유통과정 때문입니다. 국내의 커피 회사들은 유통과정의 구조를 체계적으로 개선하여 신선한 원두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어 나가야합니다. 국내 커피 애호가들은 고품질의 원두를 원하고 그런 소비자들은 점점 더 늘어날 것이기 때문에 하루빨리 커피 회사들은 프리미엄 커피를 신선하게 유통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노력해야 합니다. 그래서 소비자들이 진정한 커피의 향미를 느끼고 스페셜티 커피 문화가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큰 발판이 되어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