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ome coffee

푸에르토리코에 바로 최고의 커피가 있습니다.

by vlog_paul 2022. 7. 7.
반응형

1736년 푸에르토리코에 처음 커피나무가 들어왔습니다. 이 커피나무는 이민자들인 코르시칸 사람들이 경작을 하였습니다. 1896년까지 세계 6번째 커피 수출국이었던 푸에르토리코는 주요 수출국이 스페인, 프랑스, 이탈리아, 쿠바였습니다. 전쟁과 허리케인 같은 자연재해로 인해 번성했던 커피산업이 약화되었지만 현재는 다시 부활하여 인기 있는 커피 생산국이 되었습니다. 

 

1. 이것만 기억하세요. 아우코 셀렉토, 그랜드 라레스

푸에르토리코는 커피를 아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인정하는 세계에서 가장 좋은 품질의 커피가 생산되는 곳입니다. 미국의 자치령 국가로 최저임금제를 시행하고 있는 푸에르토리코는 다른 커피 생산 국가들에 비해 높은 임금으로 자메이카와 하와이가 비교될 정도로 높은 수준입니다. 또 교육 수준이 높고 그만큼 직업에 대한 의식 수준도 높습니다. 미국, 일본, 유럽에는 스페셜티가 수출되고 있고, 정성스럽게 농사를 지으며 커피에는 맑은 풍미에 깊은 바디가 느껴지고 향이 좋습니다. 이곳에서 생산되는 커피는 세계에서도 가장 인정받는 커피로 '아우코 셀렉토'와 '그랜드 라레스'가 있습니다. 아우코 셀렉토는 남 서쪽에 있는 곳에 아우코라는 지역에서 생산되는 커피이고, 그랜드 라레스는 남쪽의 중앙에 있는 라레스라는 지역에서 생산되고 있습니다. 자메이카 블루마운틴의 양이 부족할 때 대체할 수 있는 커피는 푸에르토리코의 커피가 유일합니다. 이곳에서는 3개의 농장에서만 아우코 셀렉토를 생산하고 있는데 강한 아로마를 지니고 있으며 독특한 뒷맛과 풍부한 풍미로 많은 커피 애호가들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원두의 가격도 꽤 고가인 만큼 커피 중의 가장 뛰어난 커피로 그만한 값어치를 하는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우코산은 온화한 기후로 숙성기간이 10월부터 2월까지이며, 훌륭한 점토 토양으로 되어있습니다. 원두는 옛날 스타일의 아라비카를 생산하고 있고 생산량은 적지만 훌륭한 품질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농사를 짓는 방법도 자연 친화적으로 독성이 낮은 화학물질을 사용합니다. 다양한 방식의 경작법이 비옥한 토양을 만들어주고, 완숙한 열매만 수확하여 2일 동안 동안 드럼방식으로 세척을 합니다. 아우코 셀렉토 커피를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쓴맛이 거의 없고 섬세한 풍미와 풍부한 과일향이 가득합니다. 

 

2. 균형감이 좋은 엘살바도르 커피

중앙아메리카에서 작은 나라에 속하는 엘살바도르는 65만 명의 인구 중 10%가 커피 관련된 일에 속해 있습니다. 균형감이 있지만 특징이 뚜렷하지 않고 모든 생산량의 15%만 수출하고 있습니다. 1900년대 초반에는 반세기 동안 커피산업을 주력으로 하였습니다. 1월에서 3월에 좋은 원두가 생산이 되고 독일에서 가장 품질이 좋은 SHG 원두를 대량으로 구매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이유로 위태로운 나라의 경제는 커피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원두 350만 포대를 생산했던 엘살바도르는 1990년에는 250만 포대로 많은 생산량이 감소하게 되었습니다. 가장 심하게 감소된 지역은 동부지역으로 해당 지역은 농장의 주인과 일하는 사람들이 모두 떠나고 아무도 남지 않게 되었습니다. 이후에도 원두 가격이 계속 감소하게 되고 그로 인해 수만 명의 직원들이 일을 떠나자 대부분의 지역에서 커피를 생산할 수 없게 되어 당시는 엘살바도르의 커피산업에 큰 위기였습니다. 중앙아메리카의 전형적인 엘살바도르 커피의 풍미는 가벼운 바디와 적당한 아로마와 산미를 가지고 있으며 깔끔한 맛입니다. 유명한 커피로는 미국의 유기농 협회에서 인증을 받은 '피필'커피입니다. 또 마라코지페와 파카의 혼종인 '파카마라'는 서쪽 지역인 '산타 아나'에서 가장 좋은 품질의 커피를 생산합니다. 파카마라는 좋은 풍미가 있으며 바디는 강하지 않습니다. 최근엔 유기농 인증을 받은 '산 안토니아' 같은 새로운 원두들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엘살바도르는 아직까지 불안정한 국가의 시스템은 많은 산업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는데 하루빨리 나라가 안정되어 커피산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되어 생산량을 점점 더 늘려나가게 되고 안정적인 일자리가 제공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댓글